근로장려금 2025, 언제 입금될까요? 신청은 3월에 했는데, 실제 지급은 언제인지 헷갈리는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2025년 신청분’이라는 표현 때문에 2025년 소득에 대한 장려금으로 오해할 수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지급일, 심사 결과 확인법, 지급액 산정 방식까지 정확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근로장려금 2025, 소득 기준 연도부터 구분하세요
근로장려금은 신청하는 해와 소득 발생 연도가 다릅니다. 예를 들어, 2025년 3월 1일~17일 사이에 신청한 정기 근로장려금은 2024년 하반기에 발생한 소득을 기준으로 심사됩니다.
따라서 '2025년 신청분'이라는 표현은 2024년 소득에 대한 장려금을 신청하는 시점이 2025년이라는 의미이지, 지급 대상 소득이 2025년이라는 뜻은 아닙니다.
지급일은 언제? 6월 말 정산, 7월 초 입금이 일반적
2025년 3월에 신청한 근로장려금은 국세청 심사를 거쳐 6월 말경 정산됩니다. 지급 시기는 해마다 다소 차이가 있지만, 통상적으로 6월 마지막 주에서 7월 첫째 주 사이에 입금됩니다.
단, 정산일은 국세청의 내부 일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문자로 입금 예정일을 안내해주기도 합니다. 신청자가 많은 경우 일부는 7월 중순까지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심사 결과는 어디서 확인하나요?
신청 후 심사 결과는 국세청의 홈택스 또는 손택스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 절차를 따르세요.
- 홈택스: [마이홈택스] → [근로장려금 검색] → [근로장려금 신청 및 결정내역 확인]
- 손택스: 앱 실행 → [신청/제출] → [근로·자녀장려금] → [심사진행 상황 조회]
심사가 완료되면 결과와 함께 ‘지급 예정 금액’이 표시됩니다. 이 내용은 문자(SMS)로도 발송됩니다.
지급액은 어떻게 결정될까요?
지급액은 가구 유형(단독, 홑벌이, 맞벌이), 총 급여액 등 근로소득, 재산 요건 등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기본적으로는 소득이 적을수록 더 많은 금액이 지급되며, 연간 최대 지급액은 가구 유형에 따라 상이합니다.
예를 들어 단독 가구의 경우 연소득 2,200만 원 미만, 재산 2억원 이하라면 최대 150만 원까지 지급될 수 있습니다. 정확한 금액은 국세청에서 정한 지급 산정표에 따릅니다.
📌 헷갈리는 포인트 다시 정리!
- 신청 시점: 2025년 3월 1일~17일
- 해당 소득: 2024년 하반기 발생분
- 지급 시점: 2025년 6월 말~7월 초
- 확인 방법: 홈택스 또는 손택스 앱